반응형 사주기초공부41 무토 (戊土) 10개의 천간의 글자중에 5번째 글자이고 무토라 부르며 산을 의미한다. 1. 글자의 의미와 특성 무토는 우거질 무 자를 의미하며 극히 무성해진 시기를 의미한다. 태초에 우주가 폭발한 후 비로소 지구가 만들어지고 높은 산이 생겨났으니 무토라 불렀다. 무토는 음양오행 중 양토이며 십간 중 다섯째이고 모든 오행의 기본이다. 오행의 중앙에 위치하여 그들의 기반이 되어 다스리고 모든 오행을 생왕 하고 수용하며, 단단하고 굳다. 또한, 거칠며 중후하고 강하여 모든 것을 막아내고 정지시키며 발생하고 내보낸다. 정적이며 고요하나 그 안에서는 모든 변화가 이루어지고 생성된다. 그 성품은 덕이 많고 자애로우며 태산과 같은 믿음을 준다. 목화 금수의 사행을 순환시켜 주며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다. 또한, 크고 높은 산에는 맹.. 2022. 12. 7. 정화 (丁火) 10개의 천간 중4번째 글자이며 정화라고 부른다. 1. 글자의 의미와 특성 태초에 우주가 폭발하여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져 나왔으니 그것을 정화라고 한다. 정화는 음양 오행 중 음의 기운의 화이며 천간 병화와 같은 불이기는 하지만 빛을 발산하는 병화와는 다르며 태양이 아니라 나무를 태우고 쇠를 녹이는 등촉화라 부르며 등불과 촛불을 의미한다. 병화는 발산하는 빛이기에 모든 세상을 비추고 나무를 서서히 자라게 하는 힘이 있고 정화는 나무를 불태워 재로 만드는 불타는 화의 기운이기에 심지를 통해 살아 오르니 그 형체가 분명하다. 정화는 바람에 약하지만 밤을 밝힐 수 있고 겨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심지를 통해 위로 향하며 끌어모으고 축소 지향적이며 태워서 소멸시키고 정적이며 조용하다. 강하면 뜨거워서 쇠를.. 2022. 12. 6. 병화 (丙火) 10개의 천간 중 세 번째에 글자이며 병화라고 부른다. 1. 글자의 의미와 특성 우주 만물을 모든 생명을 자라나게 하고 발전시키게 하며 음과 양의 이치에서 모든 양의 기운을 대표하는 것이다. 병화는 정화와 마찬가지로 불이기는 하지만 불이 아닌 불이기에 촛불의 심지를 태우는 것과 같은 불이 아닌 만물을 비추고 밝게 빛나게 하고 생명이 태어나게 하는 불을 말한다. 즉 태양으로서는 뜨겁고 밝은 기운이며 사방으로 확산하는 기운을 가져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훤하게 밝혀주는 불이다. 만물의 형체가 나타나게 하는 기운이기에 없어서는 안 되는 빛이며 우주의 모든 것을 생장하도록 하는 기운이다. 그러므로 병화는 갑목을 길러 훌륭한 재목으로 만들기도 하고 을목을 길러 아름다운 꽃이 되게 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임수가 필요하.. 2022. 12. 5. 을목 (乙木) 10개의 천간중에 두번째 글자인 을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자의(字意) 초목(草木)이 굽어진 채로 흙을 뚫고 나오는 것을 의미하며 생장(生長)의 뜻을 나타낸다. 2. 성정(性情) 갑목(甲木)은 목(木)의 외적(外的) 성장(成長)이라면 을목(乙木)은 목(木)의 기운(氣運)이 내적(內的)으로 성장(成長)하는 과정이며 하늘에서는 바람이 되고 땅에서는 초목(草木)이 된다. 겉 모습은 부드럽고 유약하나 강인한 생명력을 보이며 주변의 상황을 적절히 이용하는 적응력(適應力)이 뛰어나다. 전달수단이 되기도 하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디자이너 등 예술 예능 등의 재능을 가지게 된다. 3. 음양적(陰陽的) 관점 을목(乙木)은 갑목(甲木)에 비해 상당히 약(弱)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러한 느낌은 을목(乙木)이 양기.. 2022. 12. 4. 갑목 (甲木) 하늘의 뜻을 뜻하는 10개의 글씨중에 첫번째 주제인 갑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의(字意) 초목이 구부러져 흙을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성장의 의미를 알 수 있다. 2. 성정(性情) 위로 뻗어 올라가는 기상으로 매사에 선두가 되길 원하며 지기 싫어한다. 인(仁) 생(生) 두(頭) 시(始) 연(演)의 속성을 갖는다. 3. 음양적(陰陽的) 관점 갑목(甲木)을 바라보면 내면으로는 강한 양(陽)의 기운을 갖고 있으나 외면은 음기(陰氣)가 아직 사라지지 않아 경직된 모습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내면의 양기(陽氣)가 점점 자라 외부로 나가려는 모습이 갑목(甲木)의 모습이다. 아직 외부는 음(陰)의 기운이 작용하니 그 모습이 경직된듯하고 밖으로 나가려는 모습 때문에 강한 힘이 작용하는 듯하나 을목(乙木) 만.. 2022. 12. 3.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