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공부/합충파해형(合沖破害刑)

천간합 간합이란? 天干合

by 사주삼촌 2023. 1. 4.
반응형

<천간합: 天干合>

 

천간합이란? 음과 양의 천간의 상극에 의해서 합체하는 것으로 화상(化象)이라고 하며 통상 간합(干合)이라고 부른다. 천간과 천간이 합체해서 변화하는 오행을 화기오행(化氣五行)이라고 한다.

(): 모양이 바뀌다. 따르다. 되다.

 

1. 중정지합(中正之合) 갑기간합 + 화기오행=()

<가운데: , 바를: >

사물에 역하지 않고 마음이 넓다는 뜻이다. 갑목이 저항하지 않고 기토의 뜻을 따르는 모습.

()은 양목(陽木)이고 인()을 관장하며 기()는 음토(陰土)이고 정()을 관장하여 만물생성의 뜻이 있다. 중정지합은 만사 유순한 뜻으로 이러한 이름이 있다.

 

2. 인의지합(仁義之合) 인의지합(仁義之合)을경 간합+ 화기오행=()

<어질:, 옳을: >

강건, 과감, 용기를 뜻한다.

()은 인()을 관장하고, ()은 강금(剛金)으로 의리와 고집을 뜻하고 패하는 것을 싫어하는 건왕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내유외강(內柔外剛)하여 능히 신의를 관철하는 가운데 남모르게 인심을 장()하고 있으므로 이 명칭이 있다.

 

3. 위세지합(威勢之合) 병신간합 + 화기오행=()

<위엄: , 기세: >

칠살을 띠는 것을 좋아하며 편협, 색정을 뜻한다.

겉으로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고 권위 있고 위엄이 있다는 의미이다.

 

4. 음익지합(淫匿之合) 정임간합 + 화기오행=()

<음란할: , 숨을: >

다정다감하고 타인을 품어주며 배려를 잘하지만, 분위기에 잘 휩쓸리고 색욕을 좋아한다.

 

5. 무정지합(無情之合) 무계간합 + 화기오행=()

<없을: , : >

십간의 무()와 계()의 간합의 별칭이다. 무토(戊土)는 양토이고 부동(不動)인데 무정지합은 만물은 있어도 정은 없고 숨긴다는 뜻이다. 화려함과 드러나는 것을 좋아한다. 색욕에 물들기 쉽다.

천간합

<천간합의 종류와 의미>

천간합의 종류

천간합은 일간을 중심으로 하나의 합만 있으면 다정다감하고 순리를 거스르지 않는 합이 되지만 일간을 두고 합을 서로 다투거나. 합을 두고 샘을 내는 합이 있다. 이를 쟁합과 투합이라고 한다. 쟁합(爭合)과 투합(妬合) : 쟁합과 투합은 부부의 도를 어지럽게 한다.

 

천간합의 의미

타인과의 제휴, 합동, 합병을 뜻한다. ()된 오행에 목표를 두고 함께 한다는 의미이다.

남자는 외교적, 사교적으로 보고 사업운영이나 처세에 필요한 부분을 보게 된다.

여자는 능숙한 사교수단이라고 보지만 품행에 과오를 범하기 쉽다고 한다. 일간 간합이 있으면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상냥하다고 본다.

 

<쟁합: 爭合> 다툴: 

쟁합 여자 하나를 두고 남자 둘이 다투는 합.

)

乾命 丙甲() 기토(己土) 정재를 갑목 일간과 년간 갑목(甲木)이 서로 쟁탈하려는 합.

乾明 丙丙() 신금(辛金) 정재를 병화 일간과 시간 병화(丙火)가 서로 쟁탈하려는 합.

 

<투합: 妬合> 샘낼: 

투합은 1개의 양간을 2개의 음간이 서로 다투어 합하려고 한다는 의미이다.

질투의 합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특히, 정임(丁壬)정임(丁壬) 간합과 무계(戊癸) 간합은(戊癸)

음란의 합 내지는 무정의 합이라 하여 삼각관계로 얽힌 것을 뜻한다.

)

乾命 丙甲() 일간 갑목(甲木) 남자가 정재 기토(己土) 한 여자를 두고 쟁탈하려는 모습.

乾命 乙戊(癸)戊 일간 무토(戊土) 남자가 정재 계수(癸水) 한 여자를 두고 쟁탈하려는 모습

 

천간에 합이 있는 상태에서 다시 합운을 맞이하면 투합의 상태가 되는데

투합의 본래 의미는 가볍고 독신자에게는 결혼 운이 있다고 본다.

 

)

乙丙辛戊 <-(세운)

합화

<천간합의 오행의 변화>

길신은 간합하여 귀(貴)함을 망각하고,흉신은 간합 하여 천(賤)함을 망각한다.

 

갑기합= (陽木+陰土=) 중정 인

을경합= (陰木+陽金=) 인의 의

병신합= (陽火+陰金=) 위세 예

정임합= (陰火+陽水=) 음익 지

무계합= (陽土+陰水=) 무정 신

 

)

시일월년

己甲癸戊

 

갑목일간을 기준하여 년간에 무토는 편재이고 월간 계수는 정인이다.

정인과 편재가 무계합으로 간합하였으니 인수는 일간을 생조하는 임무를 등한시하고 편재 무토도 계수와 간합되어 갑목의 생존의 터전을 찾아 나서기를 주저한다. 이는 부모와 조상덕이 희박하다고 본다. 또한, 무계간합이 화오행으로 목표를 삼으니 덕은 없으나 스스로 생존하는 환경은 만들어져 있으니 귀함을 망각한 예라고 볼 수 있다.

 

)

시일월년

壬丙甲己

辰戌申未

 

병화일간을 기준하여 월간과 년간의 갑목(甲木) 편인과, 기토(己土) 상관이 갑기합을 하고 있다. 화기오행으로 갑기합 토()로 병화를 설기 시킴과 동시에 월지 申金을 토생금으로 상생한다. 길신이 간합하면 길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고, 흉신이 간합하면 흉은 없어지고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서 인수가 간합하면 도움이나 후원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편인이 간합하면 자(사랑할 자) 육신으로 화생토 하게 되어 일간의 설기는 있으나 식록을 파하는 일은 없다.


기타

식신이 간합하면 의식주가 궁하다.

재성이 간합하면 금전이 궁하다.

관성이 간합하면 명예가 뜬구름과 같다.

겁재가 간합하면 재물을 빼앗기지 않는다.

상관이 간합하면 명예를 파하지 않는다.

편관이 간합하면 나를 공격하는 일이 없다.

천간합

<일간과 대운의 합>

예를 들어甲木갑목일간이 천간에 합이 없는데 대운에서 己土기토를 만나게 되면 일간과 정재의 합이니 기혼자는 금슬이 좋아지는 운기로 보거나 사주 천간에 편재가 있으면 삼각관계 즉, 이성 문제의 갈등이 발생하기 쉬운 운기에 들어서는 것을 뜻한다.

 

<대운을 맞아 쟁·투합이 될 때>

 

예) 쟁합대운

己辛辛甲 坤()

사주에 비견이 있는 것은 대운을 맞아 쟁합이나 투합의 운기가 되기에 간명할 때 특별히 유념해서 봐야 한다. 대운에서 병화(丙火) 정관이 온다면 신금(辛金) 일간과 월간의 비견(辛金)이 남자 하나를 두고 경쟁하게 된다는 뜻이 되기에 투합의 운을 맞이하며, 남편은 대운에서 타 여성에게 애정을 쏟게 되므로 가정에 불화를 암시한다.

 

예) 투합대운

辛壬丁甲 乾()

임수일간이 정화 정재와 간합을 하고 있는 중에 대운에서 정화(丁火) 정재운을 맞이하면 투합이 되기에 본처가 아닌 애인을 두게 되거나 애정을 타인에게 쏟는 과오를 저지르게 된다. 사건의 경중에 따라 별거 또는 이별의 우환이 있다.

 

사주 원국 전체를 보고 간명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단순히 천간이 합이 되고 극을 받은 단식판단은 심각한 오류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합이 있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