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공부/합충파해형(合沖破害刑)

3. 삼합(三合)과 계발이란?

by 사주삼촌 2023. 1. 8.
반응형

삼합
지지 삼합

<지지 삼합이란?>

12 지지의 장생지와 제왕지 그리고 묘지에 해당하는 3글자가 동시에 합체하여 

목화금수의 오행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해수(亥水)+묘목(卯木)+미토(未土) = 목국(木局)

인목(寅木)+오화(午火)+술토(戌土) = 화국(火局)

사화(巳火)+유금(酉金)+축토(丑土) = 금국(金局)

신금(申金)+자수(子水)+진토(辰土) = 수국(水局)

 

이렇게 세 개의 글자가 모여서 하나의 기운으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삼합이 되는 글자들을 살펴보면 지장간에서 하나의 뜻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해수+묘목+미토 이 세 개의 지지 글자는 지장간에 공통적으로 갑목과 을목이라는 목기(木氣)의 천간 글자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각 지지의 글자는 고유의 글자의 속성은 간직하지만 어떠한 뜻에 하나로 모여

협조한다는 의미가 되며, 다른 의미로는 목이라는 기운으로 뜻을 함께 이룬다는 의미가 됩니다. 

 

필수조건처럼 왕지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또한 월지를 기준으로 갖춰져야 합니다.

이전에도 설명했듯, 월지는 사주를 파악하는데 가장 중심이 되는 자리이며 모든 신은 월령에서 구한다는 법칙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지지삼합
삼합

사주에서 삼합 중에 왕지가 빠지더라도 해수와 미토는 지장간에 임수와 정화가 정임합을 하기에 목의 목표에 도달하려는 목적은 같을 수 있으나 그 본질은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도 됩니다. 국이라는 판이 만들어질 때 중심이 되는 글자가 없으면 하나의 목표로 출발하지만 그 본분을 잊어버리고 다른 글자들과 합과 충 혹은 형과 파, 해 등의 변화가 발생하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왕지가 있어야 삼합을 이룬다는 점입니다. 

<삼합의 해석>

1. 삼합은 방합과 다르게 사회의 합이라고 부르며 사회적인 협조와 협동을 이룬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분명 사회적인 합이기 저마다 목표가 같을 뿐 목표를 위해 작용하는 방법은 다르게 됩니다. 

왕지가 없이 생지와 묘지로만 되어있으면 일이 발생하려는 분위기만 만들어진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천간과 지지의 공부가 끝나고 육신과 십성을 이해했다면 반드시 지장간을 외우거나 그 원리를 이해하고 

형충회합을 공부해야 수월해집니다. 천간이 심리적이고 보이진 않지만 느껴지는 기운이라면 지지는 발생되는 모습을 뜻 할 뿐이고. 실제 인간의 변화에 핵심은 지장간에 있기에 차후에 지장간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2. 원국에 있으면 항상 자기계발을 잘 하고있는 사람이다. 원국엔 없으나 세운에서 글자가 삼합으로 만들어지면 자기계발을 하는 운이라고 보면 됩니다. 

 

ː(啓發) [/]

 

명사】【~하다 타동사

슬기·재능이나 사상 따위를 일깨워 발전시킴

┈┈• 창의성이 되다

┈┈• 소질을 하다.

열 계; -11; [qǐ]

열다, 가르치다, 인도하다

쏠 발; -12; [fā]

쏘다, 가다, 떠나다, 보내다, 파견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