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형(刑)의 종류>
지지의 형이라는 것은 형벌 형(刑) 자를 쓰게 됩니다.
자평진전에서는 인사신, 축술미의 세 개의 글자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삼형(三刑)
자수와 묘목 왕지의 두 글자가 만나게 되는 자묘형(子卯刑, 卯子刑)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의 같은 글자 두 개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자형(自刑)을 말합니다.
<지지 형(刑)이란?>
지지에서 형이란 과중된 에너지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명리학에서는 모든 에너지가 안정된 기운을 뜻하는 중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특정 두 지지가 만나 하나의 오행이 과중된 기운으로 바뀌게 되면 중화를 이루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 이를 바로잡는 과정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형(형벌 형刑)이란 수(셀 수數)가 극에 이른 것이니 가득 차면 오히려 손해가 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음부경에서는 삼형(三刑)이 방합과 삼합에서 나온 것이라고 했습니다.
<인사신 삼형-지세지형(持勢之刑)>
생지의 형으로 해수를 제외한 생지 글자 인목 사화 신금이 마주하면서 일어나는 움직임으로 각 방위의 기운을 보존하고 지키고자 하는 힘의 크기가 부딪히는 것을 지세지형이라고 부릅니다. 다르게는 힘겨루기를 하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권력이나 권한을 뜻하는 법조계에 종사자가 많습니다.
형은 반드시 깎고 조정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지에 어떤 위치에 놓여있는지를 살펴봐야 하고 육신의 해석과 합께 지장간의 변화를 살펴봐야 합니다.
<축술미 삼형(無恩之刑)>
지지에서 묘지에 속하는 진술축미 중에서 진토를 제외한 토(土)끼리의 변화입니다.
은혜를 모른다고 하여서 무은지형이라고 부르며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하는 형입니다.
친구나 애인관계에서 주로 나타나게 되며 불화에 대한 의미이지만 고지의 글자이기 때문에
재산상에 큰 행운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자묘형(子卯) 無禮之刑)>
이 글자로 구성된 형(刑)이 있으면 상대를 무시하고 예의에 어긋남을 모르는 형이라고 합니다.
도덕적인 면이 결여되어 자신만 생각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패륜을 맞이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부모와 자식간의 문제 혹은, 애인과의 문제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자형(子刑) 진진, 오오, 유유, 해해>
같은 글자가 중첩되니 기운이 강해져서 만들어지는 문제라고 합니다.
'사주기초공부 > 합충파해형(合沖破害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육해(六害) (0) | 2023.01.17 |
---|---|
지지 파(破) (0) | 2023.01.12 |
지지 육충(六沖) (0) | 2023.01.09 |
3. 삼합(三合)과 계발이란? (0) | 2023.01.08 |
2. 방합(方合)과 세력(勢力)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