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칠살2

천간충 간충이란? 天干沖 충 冲 빌 충; ⼎-총 6획; [chōng,chòng] 비다, 공허하다, 가운데, 沖의 俗字 명리학에서 천간의 충은 상반된 기운이 서로 마주하게 될 때를 이야기합니다. 충이라는 글자의 자의를 보면 비다, 공허하다는 개념으로 쓰여있는데 이는 서로 마주치며 남아있는 것이 없다. 텅 비어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천간의 충은 10개의 천간 글자가 서로 극 받는 관계 중에서 목과 금의 충 그리고 수와 화의 충만을 본다고 합니다. 천간은 모두 7번째 글자와 상극의 관계에 놓이게 됩니다. 그래서 칠살(七殺)이라고 부릅니다. (갑목과 경금)(을목과 신금)(임수와 병화)(계수와 정화) (甲木과 庚金)(乙木과 辛金)(壬水와 丙火)(癸水와 丁火) 이렇게 4가지의 충이 존재하며 양대양, 음대음의 같은 것끼리 마주 보게 된 .. 2023. 1. 5.
육신 편관 <편관의 성격과 특성> 일간을 극하는 오행 중 음양이 같은 것을 편관이라 합니다. 편관은 일명 칠살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천간이나 지지 모두가 일곱 번째는 상극작용을 하는 까닭입니다. 우주의 모든 만물은 생로병사의 윤회를 되풀이하며 순환운동을 계속하는데, 그 것은 생한 것은 반드시 죽음이 있어야 하고 죽음은 또 다른 생과 연결될 때 무한 영속의 우주 순환이 계속됩니다. 여기에서 인성이 만물을 생하는 것이라면 칠살은 만물을 사별하게 하는 작용을 담당합니다. 편관은 고통과 질병, 재난과 형액, 파산과 단명 등 최악의 흉하고 천한 일을 하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용감하고 강직하며 투쟁심과 의협심을 갖춘 무관으로 적진을 격파한 개선장군이나 혁명을 일으켜 권위와 명예를 한 손에 움켜잡는 군왕처럼 권세의 화신이 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2022. 12. 31.
반응형